런던, 1789.
7권 인-8의 내용: I/ (1) f. 제목 페이지, 1 프론트피스, 작가의 초상화 1장, cxcii pp., 256 pp. (당시 Q 묶음 없이 제본됨), (2) ff. 표, 외부 삽화 1장; II/ (1) f., 251 pp., 표 3쪽, 외부 삽화 2장; III/ (1) f., 404 pp., 표 2쪽, 외부 삽화 2장; IV/ (1) f., 437 pp., 표 3쪽, 외부 삽화 3장, pp. 17부터 32까지가 당시에 두 번 제본 됨; V/ (1) f., 452 pp., 표 3쪽, 외부 삽화 3장; VI/ (1) f., 419 pp., 표 3쪽, 정오표 2쪽; VII/ (1) f., 413 pp., 표 3쪽, 외부 삽화 1장. 총 12점의 채색 판화, 1 프론트피스, 1 초상화. 전체 붉은 모로코 제본, 황금 장식 테두리, 예쁜 등대, 금박 자단, 내부 황금 롤렛. 당시 모로코 제본.
206 x 123 mm.
더 읽기
고급 인쇄물 서지 수집 1789년 런던 판본의 삽화가 1777년 판본의 원래 삽화로 대체된 대형 베일린 용지에 인쇄된 고급 서적: 초상화 – 보렐, 표지 양식화 7개와 본문 밖 도판 12판, 네 및 기타.
드리스 드 세일레는 빛을 발하지 못한 작가로, 평론가들은 그를 거의 다른 이들을 이야기할 때만 언급하곤 했다. 새로운 연구 덕분에 우리는 이제 루이 15세의 통치 때부터 복구시기까지 당대의 울림이 되었던 매력적인 남자를 발견하고, 박해, 감옥, 궁핍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상을 조금도 버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이 단호한 이는 계몽주의를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고, 심지어 그 당시의 사상과 맞지 않고 쓸모없게 되었을지라도 그 입장을 고수했다. 바로 이 후방에서의 싸움에서, ‘무기 없이 적 없이’, 드리스는 그의 명쾌함과 용기의 완전한 척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새로운 연구는 (‘내부’와 ‘외부’에 대한 데리다의 변증법을 도와가며) 드리스가 편집자, 서문자, 번역가, 철학자, 팜플렛 공작자, 서간문 작가, 심지어는 익살스러운 극작가로 활동하였던 다양한 양식 아래에서 완강히 일관된 선을 따라가는 사고의 유기적 통일성을 보여준다. 우리는 이제 드리스가 다중음을 사랑하여 다중 필자였음을 알고 있다.
이 작품의 드러나는 자연신론은 두 번째 판본 발행 후 큰 논란을 일으켰다. 샤틀레의 회의는 1776년에 그 책들을 불태우고 드리스 드 세일레에게 영구 추방과 재산 몰수를 선고했다. 이 판결은 지나치다고 여겨졌으나, 1777년에 뒤집어져 결국 작가는 샤틀레의 감옥에서 몇 달만 머물렀고, 당시의 가장 위대한 사상가들의 정기적인 방문을 받으며 매우 잘 살았다. 페녹, et autres.
Delisle de Sales était un de ces écrivains mineurs dont les critiques n’évoquent guère la présence que pour parler des autres. Grâce aux nouvelles études nous y découvrons désormais un homme attachant qui, du règne de Louis XV à la Restauration, a été l’écho sonore de son temps et s’est jeté dans toutes les controverses idéologiques sans que les persécutions, la prison ou le dénuement ne l’aient jamais conduit au moindre reniement. Cet oratorien a embrassé le parti des Lumières et s’y est tenu, même lorsque la Révolution et l’Empire ont fait de sa philosophie de la nature une pensée obsolète, désaccordée et vaine. Et c’est précisément dans ce combat d’arrière-garde, « sans armes et sans adversaire », que Delisle donne la pleine mesure de sa lucidité et de son courage.
Ces nouvelles études montrent (en s’aidant de la dialectique, chère à Derrida, du « dedans » et du « dehors ») l’unité organique d’une pensée qui, sous des formes prodigieusement diverses (Delisle fut éditeur, préfacier, traducteur, philosophe, pamphlétaire, épistolier, et même auteur d’un théâtre polisson), suit une ligne obstinément rigoureuse. Nous savons aujourd’hui que Delisle fut polygraphe par amour de la polyphonie.
Le déisme affiché de cet ouvrage fit scandale après la parution de la seconde édition. Le Conseil du Châtelet condamna les volumes au feu en 1776, et Delisle de Sales au bannissement à perpétuité et à la confiscation de ses biens. Le jugement rendu, trouvé démesuré, sera néanmoins cassé en 1777 et l’auteur ne passa finalement que quelques mois en prison au Châtelet, fort bien logé et recevant la visite régulière des plus grands esprits de son temps. Peignot, 금기 도서, I, 96.모든 판과 삽화가 당시 색상으로 채색된 상태로 보존된 시대의 붉은 가죽제본된 이 특출한 표본.
정보 줄여보기